"Orange pill"은 비트코인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은유적인 표현으로, 누군가에게 비트코인의 철학, 가치, 그리고 잠재력을 이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해. 이 용어는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에서 주인공이 "빨간 약(red pill)"을 선택하면서 진실을 깨닫는 장면에서 유래한 "red pill"의 아이디어를 차용한 거야.
비트코인과 orange pill
진실로의 입문: "Orange pill"은 비트코인을 단순히 디지털 자산이나 투자 수단이 아니라, 기존의 금융 시스템, 중앙화된 권력 구조, 그리고 경제적 자유와 자주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철학적이고 혁명적인 아이디어로 인식하게 되는 경험을 나타내.
전도/전파의 의미: 누군가가 비트코인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돕거나, 비트코인의 철학을 전파하는 행동을 "orange-pilling someone"이라고 표현하기도 해.
경제적/철학적 변화를 상징: 비트코인의 탈중앙화, 인플레이션 방어적 특성, 검열 저항성을 이해하면서 기존의 화폐 시스템(피아트 머니)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 전환점을 의미.
용어의 사용 예시
개인적 변화: "After I learned about Bitcoin's fixed supply and its potential to revolutionize money, I feel like I've been orange-pilled."
전파 노력: "I'm trying to orange-pill my friends by explaining how Bitcoin works and why it's important."
결국 "orange pill"은 비트코인을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더 나아가 경제적 자유, 개인 주권, 그리고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화폐 패러다임으로 깨닫는 정신적 변화나 전환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야.
QDTE는 Roundhill Innovation-100 0DTE Covered Call Strategy ETF로, 혁신적인 기업들로 구성된 Innovation-100 지수를 기반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이 ETF는 제로 데이 만기(0DTE) 옵션 전략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며, 매주 배당을 지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특징:
운용 전략: QDTE는 Innovation-100 지수에 대한 심각한 내가격(Deep In-The-Money) 콜 옵션을 매수하여 지수의 가격 변동에 대한 노출을 확보합니다. 동시에, 매일 아침 지수에 대한 외가격(Out-Of-The-Money) 0DTE 콜 옵션을 매도하여 프리미엄 수익을 창출합니다.
Windows 11 pro 환경에서 virtual box 설치 후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을 때, 조금 삽질하다가 해결방법을 찾았다
D:\k8s>vagrant up
Bringing machine 'master-node' up with 'virtualbox' provider...
==> master-node: Checking if box 'rockylinux/8' version '8.8-20230518.0' is up to date...
==> master-node: Clearing any previously set forwarded ports...
==> master-node: Clearing any previously set network interfaces...
==> master-node: Preparing network interfaces based on configuration...
master-node: Adapter 1: nat
master-node: Adapter 2: hostonly
==> master-node: Forwarding ports...
master-node: 22 (guest) => 2222 (host) (adapter 1)
==> master-node: Running 'pre-boot' VM customizations...
==> master-node: Booting VM...
There was an error while executing `VBoxManage`, a CLI used by Vagrant
for controlling VirtualBox. The command and stderr is shown below.
Command: ["startvm", "7fbdc99a-dae7-432f-88dd-e52069f688c6", "--type", "headless"]
Stderr: VBoxManage.exe: error: The virtual machine 'k8s_master' has terminated unexpectedly during startup with exit code 1 (0x1). More details may be available in 'C:\Users\minipc\VirtualBox VMs\k8s_master\Logs\VBoxHardening.log'
VBoxManage.exe: error: Details: code E_FAIL (0x80004005), component MachineWrap, interface IMachine
초기에 설치 시도했던 것은 아래와 같다. - Virtualbox 7.0.8-156879.exe - Vagrant 2.3.4 windows_amd64.msi
해결방법은 아래 oracle page에서 7.0.22 버전(현재 최신버전)을 설치하고 나서 vagrant up 명령어를 실행하니 바로 에러 없이 실행되었다.
내가 심었지만 도저히 뭐였는지 기억 안나는 애였는데, 이 사진을 찍어서 perplexity와 chatGPT에 물어봄. perplexity 에서는 '당근과' 라고 하고, chatgpt는 얘가 '메리골드'라고 했는데 chatGPT가 맞았다. 메리골드가 대체 한국어로 뭔가 했는데, 다이소에서 샀던 씨앗 봉투들 뒤져보니 '만수국' 이었던 거 같다.
기억안나는 애 1 - 얘는 토마토였나
얘도 뭐였는지 기억안나서 gpt에 물어보니 토마토라고 한다. 내가 토마토를 심었다고? 그럴리가 없는데... 근데 뭐 옆에서 토마토가 자라나고 있으이 가능성이 아주 낮진 않다. 줄기에 털이 한가득 있는게 토마토가 맞는 듯 한데... 토마토는 응애로 2년째 고생했기 때문에 너무너무 마음 아프지만 키우지 않기로 해서, 전부 뽑았다. ㅠㅠㅠㅠㅠㅠ
기억안나는 애 2 - 라벤더였나
저 끝자락에 보리같이 되어있는 부분이 사진상으로는 잘 안보이는데, 연보라빛이 도는걸 보니 라벤더인거 같다. 라벤더는 내가 분명 심은적이 있으니까. 맞을수도. 화분 옮겨심고나서 제일 키 큰애가 중심을 못잡는데.. 잘 자리잡았으면.
기억안나는 애 3 - 도저히 기억안남
저 길쭉한 애는 당연히 파다. 지인이 나눠주신 대파 쪼끄만애를 키우는데, 흠 지금보니 더 깊이 심어야 했나. 그리고 대파를 둘러싼 3개중에 가운데는 만수국이다. 저 보랏빛 줄기와 뾰족한 잎파리를 보고 이제 딱 알겠다. 근데 양옆에 2개는 뭐였는지 도저히 기억이 안남. 랜덤하게 씨앗 파뭍어두고 기다리는 재미가 나름있는데, 너무 길어지니까 약간 잊혀지는 거 같기도;;
고수
날씨가 추워져서그런지 쑥쑥 안크는 고수들. 그래도 나름 조금씩 잘라서 먹고 있다.
루꼴라
루꼴라도 겨울이라 그런지 성장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다. 피자 구울 때 먹고싶은데, 너무 느리게 커서 한참 기다려야 할듯
방울토마토
방울토마토가 응애 공격을 받아서...잘 크는 거 같긴해도 응애가 사방에서 보여서 매우 스트레스 ㅠㅠ 올해는 남편이 키우자고 해서 어쩔수없이 키우지만 내년부터는 절대 안키울거다.
케일
종묘사에서 봄-여름 쯤에 사온 케일 4개가 진짜 미친듯이 잘자랐다. 주말에 사과케일주스 한 컵씩 먹는데 너무 맛있음.
바질
바질도 굉장히 키우기 쉬운앤데, 제일 어려운 점이 뿌리파리. 뿌리파리는 엔토마이트를 사다 온 화분에 다 뿌려줘서 거의 95% 잡았다. 나머지 5%는 가끔씩 날라다니는데, 엔토마이트 먹이로 걍 냅두고 있음. 바질도 피자먹을때 잎파리 한개씩 올려먹으면 JMT
파슬리 (벌레사진 주의)
파슬리에 검정색 점들이 생겨서 첨엔 병인줄 알았는데 벌레였다 ㅠㅠ 남편이 물을 꽤 많이 줬더니 바로 벌레 생기네. 퐁퐁 + 식초섞은 물 뿌려주고, 남편이 손으로 벌레 좀 잡아줬더니 줄어들긴 했다. 빨간응애도 생겼는데 뿌리 좀 말려줬더니 걔도 줄어들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