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related"와 "associated"는 모두 "연관된", "관련된"이라는 뜻을 가지지만, 뉘앙스와 사용되는 맥락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차이점을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


🔹 related

  • 의미: 보다 직접적이고 본질적인 관계를 의미할 때 사용
  • 뉘앙스: 같은 종류, 혈연, 주제 등 근본적으로 연결된 관계를 암시함
  • 예시
    • "Allergies may be related to genetic factors."
      → 알레르기와 유전은 직접적으로 관련됨
    • "The two species are closely related."
      → 두 생물은 유전적으로 가까움 (근본적 관계)

🔹 associated

  • 의미: 보다 간접적이고 상황적인 관계를 의미할 때 사용
  • 뉘앙스: 함께 나타나긴 하지만 필연적이거나 본질적인 관계는 아님. 연상되는, 연결되어 나타나는 느낌
  • 예시
    • "Headaches are often associated with stress."
      → 두통은 스트레스와 함께 나타나긴 하지만, 직접 원인은 아닐 수도 있음
    • "The brand is associated with luxury."
      → 그 브랜드를 보면 럭셔리가 연상됨

 

🔸 요약 비교


구분 related associated
관계 정도 직접적, 본질적 간접적, 연상적
뉘앙스 깊은 관련성, 구조적 관계 상황적 연관, 함께 나타남
예시 family-related issues (가족과 직접 관련) stress-associated symptoms (스트레스와 연관된 증상)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현재 Claude code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지원하지 않아서 WSL 을 먼저 설치 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WSL을 설치하고 WSL 의 ubuntu에서 실행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겠습니다.

소프트 웨어 준비

  • Node.js 18+
  • git 2.23+ (optional)
  • GitHub or GitLab CLI for PR workflows (optional)

위 세가지가 준비 되어야 하는데, 여기서 Node.js 설치하는 법을 안내하겠습니다.

1. NodeSource를 이용한 Node.js 설치 (추천)

(만약 최신 버전인 "Current" 릴리스로 설치 하고싶을 경우 1-1 따라하기)

원하는 Node.js 버전에 따라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예시: 20.x 버전 설치)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20.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설치 확인:

node -v 
npm -v

1-1. Node.js "Current" 릴리스로 설치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current.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1-2. Node.js 22.x (LTS 버전)

  • Node.js 22.x (LTS 버전)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22.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1-3. Ubuntu 공식 패키지로 설치 (버전이 낮을 수 있음)

  1.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2.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nodejs npm`
  3. 버전 확인:
node -v 
npm -v

3. npm의 전역(global) 패키지 설치 위치 변경

기본적으로 npm에서 전역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root(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보통 sudo npm install -g 패키지명처럼 sudo를 붙여야 했죠.
그런데 sudo 없이 패키지를 설치하고 싶거나, 시스템 파일을 건드리지 않고 내 사용자 환경에서만 쓰고 싶을 때 이 방법을 씁니다.
또한, 전역 설치를 위해 sudo를 남발하면, npm이 의도치 않게 시스템 파일까지 수정할 위험이 있습니다.
내 홈 폴더(~/.npm-global)에서만 전역 설치가 이뤄지도록 하면, 시스템 파일을 건드릴 일이 없어서 훨씬 안전하겠죠?

npm list -g --depth=0 > ~/npm-global-packages.txt
mkdir -p ~/.npm-global
npm config set prefix ~/.npm-global
echo 'export PATH=~/.npm-global/bin:$PATH' >> ~/.bashrc
source ~/.bashrc

여기까지 했으면 이제 Claude code 설치 준비는 끝난겁니다.

마지막 단계

npm install -g @anthropic-ai/claude-code

위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떴다면 성공한겁니다.

이제 claude 명령어를 입력해 실행해봅니다.

claude

 

아래와 같이 초기 설정이 진행됩니다. 원하는 화면 모드를 선택한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Claude 구독을 하고 있다면 1번,
API 사용 기반 과금 형식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2번을 선택합니다. (저는 구독이 있어 1번을 선택합니다.)

 

그 다음에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claude 로그인 url이 나타나는데 컨트롤 + 클릭 하거나, 해당 주소를 브라우저에 복사 + 붙여넣기 하여 접속해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연결 승인 절차가 진행됩니다. 

 

승인을 하면 길다란 코드가 발급이 되고요, Copy Code 를 클릭해서 복사해줍니다. 

 

복사해준 코드를 다시 WSL 화면으로 돌아와 붙여주고 엔터를 입력합니다. 

 

Login Successful 이라고 뜨면서 인증 절차가 잘 진행되었습니다. 엔터 쳐줍니다. 

 

보안 관련 안내사항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링크를 클릭해 읽어보라는 군요. 엔터 치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부터는 claude code를 실행할 때마다 뜨는 화면입니다. 현재 경로에서 작업할게 아니면 2번을 입력해 나갑니다. 

 

이제 claude 명령어를 입력해 WSL 내 어디서든 claude code를 활용해 개발할 수 있습니다. 즐코딩! 

반응형

728x90
반응형

증상

SER8을 잘 쓰다 갑자기 스피커를 연결해도 소리도 안들리고, 모니터를 2대 이상 연결했을 때 연결도 안되는 증상이 있었다. 

 

해결

지피티한테 물어보고 이것저것 시도해보다가 아래 Beelink 사이트에서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해결되었다. 

링크 : Beelink

 

Beelink

 

dr.bee-link.cn

 

위 링크를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5개의 파일목록이 있는데, 나는 다 다운로드를 받아두었다. 그래픽 드라이버는 맨 아래 
SER8-8845-Driver_2024-05-16_7-12-50.zip 파일에 포함되어 있다. 

 

위 SER8-8845-Driver_2024-05-16_7-12-50.zip 파일 압축을 풀면 이렇게 나온다. 이 중에 VGA 폴더에 들어간다. 

 

아래 실행파일을 실행하면 모니터들이 제대로 인식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서버를 하나 더 추가한 뒤로 기존 서버가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음 

원인을 몰라서 chatGPT, grok 등에 문의하며 삽질을 꽤 여러 번 했는데, 결론적으로 방화벽 잠깐 내리니까 접속됨 (Proxmox에서 방화벽 '예' 설정 부분) 

접속되는 거 보고 다시 방화벽 올림.

단지 이것만 했을 뿐인데 다시 접속이 되다니.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쑥갓 (Garland Chrysanthemum)
    • 적정 온도: 15~25°C
    • 쑥갓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너무 더운 환경(30°C 이상)에서는 잘 자라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로켓루꼴라 (Rocket Arugula)
    • 적정 온도: 15~20°C
    • 루꼴라는 시원한 날씨를 선호하며, 온도가 25°C를 넘으면 쓴맛이 강해지거나 생장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상추 (Lettuce)
    • 적정 온도: 15~20°C
    • 상추는 온화하고 서늘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25°C 이상에서는 잎이 질겨지거나 꽃대가 올라올 수 있습니다.
  • 적환무 (Red Radish)
    • 적정 온도: 15~25°C
    • 적환무는 비교적 온도 범위가 넓지만, 너무 더우면 뿌리가 단단해지지 않고 맛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당근 (Carrot)
    • 적정 온도: 16~21°C
    • 당근은 서늘한 기후에서 단맛이 강해지고 잘 자라며, 25°C 이상에서는 뿌리 발달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당근은 꽤 깊은 화분이 필요한데다가, 씨를 심고 수확하는 기간이 꽤 긴 편인거 같다. (수 개월 소요)
당근 심기는 일단 보류.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Elasticsearch에서 logstash_internal 비밀번호 확인 및 재설정

Elasticsearch에서 logstash_internal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확인하거나 재설정합니다.

  • Elasticsearch 초기 비밀번호 확인: Elasticsearch가 처음 시작될 때 logstash_internal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자동 생성됩니다. Docker 로그에서 이를 확인하세요:
    docker logs elasticsearch
    로그에서 logstash_internal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찾아 Logstash 설정에 반영합니다.
  • 비밀번호 재설정: 비밀번호를 모르거나 잘못된 경우, 수동으로 재설정합니다:
    1. Elasticsearch 컨테이너에 접속:
      docker exec -it elasticsearch bash
    2. 비밀번호 재설정 명령 실행:
      bin/elasticsearch-reset-password -u logstash_internal
      이 명령은 새 비밀번호를 생성하거나 대화형 모드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3. 생성된 비밀번호를 복사하여 Logstash의 logstash.conf 또는 환경 변수에 반영합니다.

 

elasticsearch-reset-password | Elastic 문서

 

elasticsearch-reset-password | Elastic Documentation

The elasticsearch-reset-password command resets the passwords of users in the native realm and built-in users. Use this command to reset the password...

www.elastic.co

 

다음 예시에서는 username이 있는 기본 사용자의 암호를 자동 생성된 값으로 재설정하고 콘솔에 새 암호를 인쇄합니다. 지정된 URL은 elasticsearch-reset-password 도구가 로컬 Elasticsearch 노드에 연결하려고 시도하는 위치를 나타냅니다.

bin/elasticsearch-reset-password --url "http://elasticsearch:9200" --username logstash_internal -i
위 명령어를 수행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이후에 해당 docker compose를 restart 해줍니다. 
docker compose restart   

 

2. Elasticsearch 보안 설정 점검

Elasticsearch에서 X-Pack Security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여 테스트합니다.

  • 보안 설정 확인: Elasticsearch의 설정 파일(예: elasticsearch.yml) 또는 docker-compose.yml에서 보안 설정을 확인하세요. 기본적으로 7.10.0 이상에서는 보안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docker-compose.yml에서 다음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services: elasticsearch: environment: - xpack.security.enabled=true ...
  • 보안 비활성화 테스트 (임시): 인증 문제를 배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보안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services: elasticsearch: environment: - discovery.type=single-node - xpack.security.enabled=false ...
  • Docker Compose를 재시작:
    docker-compose down && docker-compose up
    오류가 사라지면 인증 문제가 원인입니다. 주의: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보안을 비활성화하지 마세요. 대신 올바른 자격 증명을 설정하세요.

이후에 logstash 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또 발생 - 403에러 

비밀번호를 바꿔줬는데도 뭔가 에러가 계속 발생하고 있었는데, 이번엔 좀 다른 종류의 에러였습니다. (아래) 

[2025-04-17T04:07:20,233][WARN ][logstash.outputs.elasticsearch][main] Health check failed {:code=>403, :url=>http://elasticsearch:9200/, :message=>"Got response code '403' contacting Elasticsearch at URL 'http://elasticsearch:9200/'"} [2025-04-17T04:07:20,304][WARN ][logstash.outputs.elasticsearch][main] Elasticsearch main endpoint returns 403 {:message=>"Got response code '403' contacting Elasticsearch at URL 'http://elasticsearch:9200/'", :body=>"{\"error\":{\"root_cause\":[{\"type\":\"security_exception\",\"reason\":\"action [cluster:monitor/main] is unauthorized for user [logstash_internal] with effective roles [] (assigned roles [logstash_writer] were not found), this action is granted by the cluster privileges [monitor,manage,all]\"}],\"type\":\"security_exception\",\"reason\":\"action [cluster:monitor/main] is unauthorized for user [logstash_internal] with effective roles [] (assigned roles [logstash_writer] were not found), this action is granted by the cluster privileges [monitor,manage,all]\"},\"status\":403}"}

 

위 에러를 요약하자면 HTTP 403 Forbidden 응답 코드로 인해 Elasticsearch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라는 내용입니다. 구체적으로, logstash_internal 사용자가 cluster:monitor/main 액션을 수행할 권한이 없으며, 할당된 역할(logstash_writer)이 Elasticsearch에서 인식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오류 원인

로그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주요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권한 부족 (HTTP 403 Forbidden)
    • logstash_internal 사용자가 Elasticsearch에서 필요한 작업(cluster:monitor/main)을 수행할 권한이 없습니다.
  2. 역할 설정 문제
    • logstash_writer 역할이 logstash_internal 사용자에게 할당되었지만, Elasticsearch에서 이 역할이 정의되지 않았거나 찾을 수 없습니다.
  3. 보안 설정 오류
    • Elasticsearch에서 X-Pack Security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와 역할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Elasticsearch에서 사용자와 역할 확인

먼저, logstash_internal 사용자와 logstash_writer 역할이 Elasticsearch에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Elasticsearch 컨테이너에 접속:
    docker exec -it elasticsearch bash
  • 사용자 역할 확인:
    bin/elasticsearch-users roles logstash_internal
    • 출력 결과에 logstash_writer 역할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역할 정의 확인:
    bin/elasticsearch-roles list logstash_writer
    • logstash_writer 역할이 존재하지 않거나, 필요한 권한(monitor, manage_index_templates, write 등)이 누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제 경우, bin/elasticsearch-roles list 에서 사용자가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kibana web console로 접속(http://kibana:5601/app/dev_tools#/console/shell) 한 뒤에
아래 3개의 POST 명령을 각각 실행해줬습니다. 

POST _security/role/logstash_writer
{
  "cluster": ["manage_index_templates", "monitor", "manage_ilm"],
  "indices": [
    {
      "names": [ "logstash-*" ],
      "privileges": ["write","create","create_index","manage","manage_ilm"]
    }
  ]
}
 
POST _security/user/logstash_internal
{
  "password" : "your-password",
  "roles" : [ "logstash_writer"],
  "full_name" : "Internal Logstash User"
}

POST _security/role/logstash_reader
{
  "cluster": ["manage_logstash_pipelines"],
  "indices": [
    {
      "names": [ "logstash-*" ],
      "privileges": ["read","view_index_metadata"]
    }
  ]
}

 

재생 표시 아이콘을 누르면 각 POST 마다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후 logstash_internal 에 role이 잘 부여되었는지 보기 위해 아래 GET 명령을 실행합니다.

GET _security/user/logstash_internal

그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명령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gstash_reader의 role은 반영이 안되었지만 writer 역할이 없어 오류가 난 것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은 되었습니다. 

 

참고 문서 :  Elasticsearch에 대한 연결 보안 | Elastic 문서

반응형

+ Recent posts